스코프 양식

 (8) 스코프 양식

ETCPU200과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급전 부하의 전류 및 전압을 캡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본 스코프 모드를 사용하려면 정정 메뉴 중 "정정/전역 요소/일반/파형 기록계/WAVE CAPTURE MODE"를 'SCOPE'로 설정해야 합니다. 단, 이때는 파형이 본체에 기록되지 않으니, 사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WAVE CAPTURE MODE"에는 3개의 모드가 있으며, "CYCLE"과 "HOLD"는 고장 파형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SCOPE"는 스코프 모드를 사용합니다. 정정치를 활용하여 전동차의 운전 부하를 보다 자유롭게 캡처할 수 있습니다.

SCOPE 모드에서 CYCLE 모드로 다시 정정되어야 고장 발생 시 비휘발성 메모리에 고장 파형을 저장합니다. 



▶ 파형 진찰 및 파형 보기

범위 : 스코프 파형의 Y축의 최대 및 최소 표시영역을 설정합니다.

격자 : 스코프 파형의 분석이 용의하게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볼 수 있습니다.

선택 : 수평축 또는 수직축, 두 축 모두로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모양 : 얇은 선, 두꺼운 선, 점, 대시로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파형 보기 : 파형의 표시 방법 선택합니다.

선, 선과 점, 커브, 커브와 점으로 변경하여 볼 수 있습니다.

파일로 저장 : 수신된 파형을 파일로 기록합니다. 기록 내용은 "WORK" 폴더 내 "Scope_XXXXX. CSP"로 저장됩니다. 하나의 파일에는 최대 50개의 파형이 기록되며 그 이상은 다음 파일로 기록됩니다.



저장된 파형을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파형은 PC에 저장되며 ETCPU 200은 메모리를 비웁니다.

설정 : 디지털 픽업 요소 및 아날로그 채널을 변경합니다.

열기 : 파일로 기록된 파형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파형 데이터 선택 : 열린 파일 내의 파형 항목을 보여줍니다.

인쇄 : 파형을 인쇄합니다.

닫기 : "스코프 양식"를 종료합니다.

F2키를 이용하여 시작 축과 끝 축을 선택할 수 있으며, F3키로 범위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9) 사고 파형 분석사례

제1강. GIPAM 2000의 구성

1. GIPAM 2000의 구성(MMI)


   1) LED 동작 및 설정 방법

 주1) GIPAM-2000T 모델의 경우 trip Assign LED는 제품 출하 시에 87T, OCR Sec, OCR TER, OCGR1, OCGR2로 설정되어 있어 수정이 불가합니다.
   2) Button의 구성


      기기의 상태가 Remote 모드일 경우 정 정치의 설정 등과 같이 기기의 값을 변경시키는 메뉴에서는 버튼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 (R/L) 버튼을 눌러 Local 모드로 전환하면 정정치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의 입력이 허용됩니다.

(그림1-7) REMOTE MODE에서의 LOCAL 전환

모든 버튼은 약 0.2초 이상 눌러야 기기에서 인식하게 되며, 화면이 변경되는 동안은 버튼의 입력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조작하시기 바랍니다. 버튼 입력값은 버퍼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 CB 조작 방법
   CB 제어의 경우 오 조작 방지를 위하여 CB ON(또는 OFF) 조작 후 3초 이내에는 CB OFF(또는 ON) 버튼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 CB ON 또는 OFF 동작 시 처음 표시되는 화면임.

예) CB ON이        
    CB ON을 한 번 누르면 (INPUT PASSWORD)가 표시됩니다. 이때 우측 버튼을 3번 누른 후 (E) 버튼을 누르고 3초 이내에 CB ON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차단기가 투입됩니다. (CB ON을 한번 누르고 Password를 해지 후 3초가 지나면 연속해서 다시 2번을 눌러야 차단기가 투입됨) OFF 시에도 2번을 선택해야 합니다.

※ Password 변경 방법
   password 입력 방법은 “input password"에서 상. 하 방향 버튼으로 up 하면 1~Z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천 단위를 선택 후 오른쪽 방향 버튼을 이용 십단위 단 단위까지 입력 후 마지막 (E) 버튼을 한번, 누르면 CB1 ON PRESS이라는 표시가 됩니다.
   (기본으로 PASSWORD는 0.0.0.0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2강 GIPAM 2000 사용 설명서



※ 1. DO FUNCTION SET에서 CB2를 PO로 선택하면
    ① 차단기 CLOSE 회로의 PLC에서 사령(RTUCLOSE)이나, 현장(CBCLORD)의 명령으로 단로기가 먼저 투입된 후 차단기가 투입됩니다 ➩ 이때 CB2 표시 램프는 소등됨
   ② 단로기 OPEN CLOSE 회로의 PLC에서 행110에서 DSCLORD(CB2 ON)를 조작 시 차단기가 OPEN되어 있어도 단로기가 투입되지 않는다 (PLC 제어 불가능)
※ 2. DO FUNCTION SET에서 CB2를 CB2(DS)로 선택하면
    ① 차단기 CLOSE 회로의 PLC에서 사령(RTUCLOSE)이나 현장(CBCLORD)의 명령으로 단로기가 먼저 투입된 후 차단기가 투입됩니다 ➩ 이때 CB2 ON 램프 적색 점등
   ② 단로기 OPEN CLOSE 회로의 PLC에서 행110에서 DSCLORD(CB2 ON)를 조작 시 단로기가 투입됩니다 
      ➩ 이때 CB2 ON 램프 적색 점등되며 단로기 단독으로 PLC 제어 가능



제3강 PLC의 개요
1. PLC의 정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종래에 사용하던 제어반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LSI,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시켜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여지도록 한 자율성이 높은 제어 장치. 

2. PLC의 기능
         1) 시퀀싱 : 디지털 입 제어
          2) Logic 연산 : AND, OR, NOT, XOR, etc.
          3) 산술 연산 : 각종 산술 연산, PID 연산
          4) 타이머 : 시간 지연, 시간 적산, 시간 지정 펄스
          5) 카운터 : 입력 펄스의 수 카운팅
          6) 아날로그 입력 : 전류, 전압, 온도
          7) 아날로그 출력 : 전류, 전압
          8) 고속 펄스 입력 : 고속으로 입력되는 펄스의 수 카운팅
          9) 펄스열 출력 : Stepping, Servo 모터 제어
          10) 통신 :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이동 및 제어

3. 릴레이제어와 PLC 제어 비교


4. PLC의 적용 분야
    PLC는 공장 자동화와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에 따라 소규모 공작 기계에서 대규모 시스템 설비에 이르기까지 산업의 전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댓글